최영욱 Youngwook Choi

최영욱의 회화는 과거 한국의 미적 전통과 연결되지만 동시에 20세기 서구예술의 전통 속에 발전해온 현대예술의 회화의 변화가 보여준 이미지의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다. 특히 밀레니엄 이후 지난 20여년간 한국현대미술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조 또는 스타일로서 한국의 대표적인 모노크롬 회화인 단색화와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최영욱 작가의 회화를 특성을 이해하는데 그 의미가 크다. 

 

달항아리가 표현하는 이미지는 우리에게 어떤 영감과 통찰을 불러일으킨다. 최영욱 작가의 달항아리 시리즈가 처음 등장한 이후 변함없이 우리를 사로잡는 이유이다. 이 사로잡힘의 경험이야 말로 현대 회화가 우리에게 주는 아주 강력한 감각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으로도 우리는 달항아리 이미지가 만들어내는 기이한 떨림, 교묘한 숭고미를 온전하게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최영욱 작가는 지난 몇 년간 코로나 시기를 지나며 하얀 집을 짓고 그 안에서 달항아리와 만나는, 회화와 설치가 융합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3년 서울과 런던에서 선보였고 향후 뉴욕과 도쿄, 남극 등 세계 곳곳에서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지구생태환경의 종말적 위기를 마주해 현대예술이 무엇을 이야기할 수 있는지 깊은 고민을 담고 있다. 작가가 조성한 명상의 집은 작은 미술관이자 기도소이며, 오랫동안 작업의 주제인 ‘업(業, KARMA)’과 조우하는 장소이다. 작가는 조형미의 영역에서 이미지와 명상을 통한 자기 발견의 문제로 나아간다. 


The paintings of Choi Young-Wook connect to the aesthetic traditions of Korea’s past while simultaneously engaging with the issues of imagery explored in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art within the Western tradition of the 20th century. Particularly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oi’s work is its relationship to Dansaekhwa (Korean monochrome painting),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movements or styl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over the past two decades, especially since the millennium.


The image of the moon jar depicted in Choi’s work evokes profound inspiration and insight, which explains why his Moon Jar Series has continued to captivate audiences since its inception. This sense of captivation reflects the powerful sensory experience that contemporary painting can offer. However, even with such interpretations, it is difficult to fully articulate the uncanny resonance and subtle sublimity that the moon jar image creates.


In recent yea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hoi has undertaken a project blending painting and installation by building a white house and presenting his moon jar within it. This project debuted in 2023 in Seoul and London, with plans to expand to New York, Tokyo, Antarctica, and other global locations. It reflects a deep contemplation on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in addressing the existential crisis of Earth's ecological environment. The meditative house created by the artist serves as a small museum, a place of prayer, and a space to encounter the central theme of his work, Karma (업, 업보). Within this space, Choi advances into the realm of aesthetics, exploring the issues of self-discovery through imagery and meditation.


Artist

최영욱

b.1964

1991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200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졸업 


개인전

2023 하나아트뱅크X최영욱 특별展-인연과 카르마, 하트원, 서울, 한국

2022 카르마, 더현대, 서울, 한국

2021 카르마, 충무로 갤러리, 서울, 한국

2020 카르마, 헬렌 제이 갤러리, 로스엔젤레스, 미국

     성찰, 소울 아트 스페이스, 부산, 한국

     카르마, 노화랑, 서울, 한국

     카르마, 노화랑, JJ중정갤러리, 서울, 한국

2019 카르마, 노화랑, 서울, 한국

롯데123, 서울 한국

2018 응결, 일우스페이스, 서울, 한국 

     카르마,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한국

     카르마, 반얀트리 호텔 갤러리, 서울, 한국

2017 카르마, 대신파이낸스 센터 갤러리 343, 서울, 한국

달의 위로, 비선재, 서울, 한국

2016 카르마,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한국

 카르마, 비선재, 서울, 한국

2015 카르마, 비선재, 서울, 한국

카르마, 표갤러리, 서울, 한국

 카르마, 전갤러리, 대구, 한국

2013 카르마,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한국

카르마, 에이큐브갤러리, 서울, 한국 & 도쿄, 일본

2012 카르마, 아트이슈프로젝트, 대만

달 속에 품은 연緣, 서정욱갤러리, 서울, 한국

카르마, 선컨템포러리, 서울, 한국

달을 품다, 롯데갤러리 광복점, 부산, 한국

2011 Image of memories 무각사, 광주, 한국 

특별전 카르마 대구세계육상대회 귀빈실, 대구, 한국

   카르마, 전갤러리, 대구, 한국

   카르마, 베르사체 아끼, 서울, 한국

   카르마, 가가갤러리, 서울, 한국

   카르마, Yegam갤러리, 뉴욕, 미국

2010 카르마, 가가갤러리, 서울, 한국

카르마, 공화랑, 서울, 한국

2009 Image of memories, 아트게이트 갤러리, 뉴욕, 미국

2007 어느날 이야기, 우리은행 강남갤러리 숲 갤러리, 서울, 한국

 어느날 이야기, 후쿠오카 한중일 아트페어, 일본

2006 어느날 이야기, 오노갤러리, 일본

2004 어느날 이야기,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

2003 어느날 이야기, 노암갤러리, 서울, 한국

2000 어느날 이야기, 홍익대학교 미술관, 서울, 한국

2000 어느날 이야기,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

1996 어느날 이야기, 김내현갤러리, 서울, 한국

1992 어느날 이야기, 가인화랑, 서울, 한국